보건교육전공은 현장의 보건교육과 건강관리의 경험을 정리하고 발전시켜 보건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보건교사의 재교육 석사학위 과정이다. 폭넓은 이론과 실제적인 방법론을 탐구하여, 현장 중심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보건교육 역량강화를 도모함은 물론, 보건교육의 학문적 업적을 발전시키고, 교육현장에 유용한 전략을 개발하며, 교육지도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명 | 성명 | 세부사항 | 소속 | 전화번호 | |
---|---|---|---|---|---|
연구실 | 학과사무실 | ||||
보건교육전공 | 김동선 | [ 바로가기 ] |
휴먼인재융합대학 스포츠산업경영전공 |
031-249-9030 | 031-249-9033 |
소속 | 성명 | 전화번호 | |
---|---|---|---|
연락처 | 이메일 | ||
교육대학원 보건교육전공 | 김대유 | - | dae5837@hanmail.net |
소속 | 성명 | 전화번호 | |
---|---|---|---|
연락처 | 이메일 | ||
교육대학원 보건교육전공 | 우옥영 | - | poemhope@hanmail.net |
전공명 |
이수 구분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비고 |
---|---|---|---|---|---|
보건교육 전공 |
전필 | KEZ03 | 보건교육론 | 3 | 재교육과정 |
전선 | KEZ11 | 학교에서의 건강 사정 및 응급처치 | 3 | ||
전선 | KEZ12 | 학교보건실무와 보건실운영 | 3 | ||
전선 | KEZ13 | 보건실에서의 상담 및 보건지도 | 3 | ||
전선 | KEZ14 | 학교조직과 보건교사의 리더십 | 3 | ||
전선 | KEZ15 | 보건교육 건강관리 세미나 | 3 | ||
전선 | KEZ16 | 보건교육의 역사와 철학 | 3 | ||
전선 | KEZ17 | 보건교육 사례 연구-보건교육 방법과 평가- | 3 | ||
전선 | KEZ18 | 보건교육 연구 및 조사방법론 | 3 | ||
전선 | KEZ19 | 학교 보건 역학 및 통계 | 3 | ||
전선 | KEZ20 | 보건교육 국제 비교 연구 | 3 | ||
전선 | KEZ21 | 보건교육의 인문학적 성찰 | 3 | ||
전선 | KEZ22 | 성교육 연구 | 3 | ||
전선 | KEZ23 | 사회와 건강, 다문화 교육 | 3 | ||
전선 | KEZ24 | 학교보건 정책과 법률 | 3 | ||
전선 | KEZ25 | 흡연·음주·약물오남용과 중독 | 3 | ||
전선 | KEZ26 | 정신건강과 학교폭력, 삶의 기술 | 3 | ||
전선 | KEZ27 | 청소년이 알아야 할 성과 사랑 | 3 | ||
전선 | KEZ28 | 보건교육 교재연구 및 지도법 | 3 |
※ 이수구분 해설 : 전필(전공필수), 전선(전공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