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교육전공은 아동, 청소년의 학습문제, 진로선택, 가정문제, 교우문제, 이성문제 등에 대한 이론 및 실제를 연구하여 전문성을 기르고, 그들의 문제를 개인 및 집단상담을 통해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상담교사를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을 상담이론 및 실제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교사들은 교육부 인정 전문상담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상담에 기초가 되는 과목을 이수하는데, 초등교사는 아동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므로 아동발달과 아동문제를 다루는 데 효과적인 행동수정을, 중등교사는 청소년들을 이해하기 위한 청년발달과 이상심리를 선택하게 된다. 특히 집단상담, 상담사례연구과목은 8-9명씩 분반하여 내담자문제의 이해, 상담이론과의 연결, 집단역동관계, 상담전략 등을 개인 상담실습 및 수퍼비젼을 통해 체험함으로써 유능한 전문 상담자로 성장하도록 교과목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기초로 본 상담교육전공에서는 상담교사가 갖춰야 할 전문적 자질 함양, 상담전문가가 갖춰야 할 문제예방, 분석․ 해결능력개발, 그리고 내담자의 전인적 상담 계획과 상담능력을 갖춘 유능하고, 성숙한 상담교사를 양성하고 있다.
전공명 | 성명 | 세부사항 | 소속 | 전화번호 | |
---|---|---|---|---|---|
연구실 | 학과사무실 | ||||
상담교육전공 | 김지연 | [ 바로가기 ] | 대학원 상담학과 | 031-249-9110 | 031-249-9185 |
전공명 |
이수 구분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비고 |
표시 과목 |
---|---|---|---|---|---|---|
상담교육 전공 |
전필 | KED01 | 상담이론과실제 | 2 |
해당 사항 없음 |
|
전필 | KED02 | 심리검사 | 2 | |||
전필 | KED04 | 특수아상담 | 2 | |||
전필 | KED33 | 집단상담 | 2 | |||
전필 | KED06 | 가족상담 | 2 | |||
전필 | KED07 | 진로상담 | 2 | |||
전필 | KED31 | 이상심리 | 2 | |||
전필 | KED12 | 발달심리 | 2 | |||
전필 | KED21 | 행동수정 | 2 | |||
전필 | KED30 | 상담실습및사례연구 | 2 | |||
전선 | KED32 | 성격심리 | 2 | |||
전선 | KED10 | 아동발달 | 2 | 초등교사 | ||
전선 | KED11 | 청년발달 | 2 | 중등교사 | ||
전선 | KED22 | 현대심리치료법 | 2 | |||
전선 | KED23 | 정서지능의이론과실제 | 2 | |||
전선 | KED24 | 여성상담 | 2 | |||
전선 | KED25 | 분석심리학 | 2 | |||
전선 | KED26 | 연구방법론 | 2 | |||
전선 | KED27 | 통계및실험설계 | 2 | |||
전선 | KED28 | 상담윤리및철학 | 2 | |||
전선 | KED29 | 리더십과상담 | 2 |
※ 이수구분 해설 : 전필(전공필수 / *전문상담교사(1급) 이수 과목), 전선(전공선택)